복지정보

조회 수 324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장애인생산품시설 4곳 관보등록 취소    
                                                       10곳 시정조치…생산품시설 신뢰도 제고 조치
                                                           우수시설에는 연간 1천400만원 인센티브 제공



  보건복지부가 전국 64개소의 장애인생산품 생산시설에 대한 ‘실태조사 및 경영평가’를 실시해 4곳은 관보공고를 취소하고, 10곳은 시정 조치를 취했다.

  이번 실태조사는 보건복지부가 ‘장애인생산품 품질인증제도’의 도입에 앞서 장애인생산품에 대한 신뢰도 제고와 장애인생산품 생산시설 운영의 내실화를 꾀하기 위해 실시한 것이다.

  관보공고 최소를 당한 4곳은 서울기능장애인협회 관악지부 장애인재활작업장, 한국지체장애인협회 달서구지회 월배장애인재활복지센터, 늘푸름고양시지부 온누리직업재활원, 영동군장애인보호작업장이다.

  시정조치를 받은 10곳은 고엽제후유의증전우회 인쇄사업소, 성모자애보호작업장, 한국지체장애인협회 인쇄사업소, 한국장애인고용안정협회 인쇄사업소, EM실천보호작업장, 한국장애인인쇄문화협회, 부산심장장애인협회자립작업장, 고엽제후유의증전우회 피복사업소, 고엽제후유의증전우회 제화사업소, 동악복지회 동악포장재사업소이다.

  이들 14곳은 근로장애인 충족요건(장애인 5인이상) 미달, 법인이 아닌 임의단체가 시설운영 및 장애인생산품 납품, 장애인생산품이 아닌 일반물품 판매, 공고한 생산물품 미생산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보건복지부는 전국 16개 장애인생산품 판매시설의 운영 현황 및 실태를 분석·평가한 결과 서울, 부산, 경기 등이 우수판매시설로 평가됐다고 밝혔다.

  복지부는 장애인생산품 판매시설의 경쟁력제고와 기능향상을 위해 평가결과 우수시설에 대해서는 시설 당 연간 1천400만원의 인센티브를 지원하기로 했다.

  이번 조사 결과, 서울지역은 2003년~2005년 매입·매출 실적이 가장 높았으며, 판매장 신축으로 안정적 판매지원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됐다.

  부산지역은 생산품 판매를 위한 지역사회연계 실적이 가장 높았으며 상담, 판촉, 홍보, 시설환경, 인력관리, 재정, 매출 등 운영 및 사업부문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경기지역은 홍보 및 개발실적 건수, 판매확충을 위한 상담 실적이 가장 높았으며 종사자수는 13명으로 가장 많았다. 또한 지역 내 생산시설(93개소)과 연계한 판매전략 수립 운영으로 판매실적을 제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강원지역은 매장의 접근 용이성 부족이 부족하고 판매실적이 타 시도에 비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북지역은 판매 및 납품인력(현 3명)의 부족으로 판매확대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지역은 판로확대를 위한 방문설명 실적이 가장 높았으나, 판매 및 납품인력(현 3명)의 부족으로 판매확대가 어렵고 지역 내 장애인생산품 생산시설이 5개로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지역은 지역적 특성에 의해 생산품을 배로 수송함에 따라 유통비용의 증가로 경쟁력이 부족하고 판매실적이 저조하며, 판매 및 납품인력(현 3명) 부족으로 인해 판매확대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